2020-09-17 l Hit 7089
“하드웨어 기술이 성숙하면, white box 형태의 규격화된 하드웨어들이 등장하면서 소프트웨어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시스코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이, 네트워크 장비제조 경쟁사가 아닌 통신사들의 white box 네트워크 스위치 채택인 것과 마찬가지로, 오픈랜(Open-RAN, Radio Access Network)’이 차세대 이동통신 장비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은 분명합니다.”
2020-09-16 l Hit 5477
서울대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과 권성훈 교수가 경희대 전자정보융합공학과 박욱 교수, 하버드 대학교 Wyss Institute의 최영재 박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배형종 박사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정보저장장치, DNA-디스크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2020-08-31 l Hit 6214
서울대가 탁월한 학문적 업적으로 국제적 명성이 있는 교원의 연구활동 지원을 위해 석좌교수 8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연구수당 지급 및 특별연구년 제도 우선 제공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정덕균 교수는 고속 디지털 회로 설계 분야의 세계적인 선도 연구자로 고화질의 화상을 손상 없이 디지털로 전송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해 세계적인 산업표준으로 인정받았다.
2020-08-24 l Hit 6768
올해 머크 어워드 수상자인 홍용택 서울대 교수는 인쇄 공정 기반 신축성 하이브리드 전자 기술을 개발했다. 심한 기계적 변형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신축성 디스플레이, 센서, 전자피부 시스템을 실증, 차세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신축성 웨어러블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2020-08-22 l Hit 6020
토마스 프리드만은 2005년 인터넷이 세계를 평평하게 만든다고 했다. 하지만 세계는 미·중 디지털패권전쟁으로 다시 쪼개지고 있다. 미국의 경쟁력은 민간의 혁신 DNA다. 혁신적 연구와 인재를 배출하는 세계 최고의 대학과 세계 최고의 혁신 생태계 실리콘밸리가 핵심이다.
2020-08-18 l Hit 6657
서울대학교 컴퓨터비전 연구실(지도교수 전기정보공학부 이경무) 박사과정 문경식 연구원이 주 저자로 참여한 인체자세추정(Human pose estimation) 관련 논문 4편이 인공지능(AI) 및 컴퓨터비전 분야 최고 우수학회 중 하나인 ECCV(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2020에 게재되었다.
2020-08-14 l Hit 6145
조동일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세계 49개국이 가입한 세계 최대 규모의 자동제어분야 학술단체인 국제자동제어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Automatic Control, IFAC) 차기 회장으로 선출됐다.
2020-08-12 l Hit 6363
전국단위사업 연구단 성과를 기준으로 이번 4단계 BK21사업 예비선정 결과를 들여다보면, 서울대가 단연 앞선 모습이다. 서울대는 42개 연구단이 사업에 예비 선정됐다. 서울대 다음으로 연구단이 많은 성균관대와 비교해도 10개 이상 차이가 났다.
2020-08-11 l Hit 6280
디지털 시대의 대전환기에 과기정통부의 수장인 최기영(65) 장관은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고민이 있지만, 인재 양성과 일자리 창출 등 그 중심에 사람이 있어야 한다”며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부처의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는 플랫폼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0-08-11 l Hit 4702
서울대학교 컴퓨터비전 연구실 (지도교수 전기정보공학부 이경무) 박사과정 문경식연구원이 주저자로 참여한 인체자세추정 (human pose estimation) 관련 논문 4편이 인공지능 (AI) 및 컴퓨터비전 (Computer Vision) 분야 최고 우수학회 중 하나인 ECCV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2020에 채택 게재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이중 한편은 구두 발표논문으로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