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25 l 조회수 310
박종호 연구원(지도교수: 홍용택)이 IMID 2023에서 나노파티클 기반 물리적 구조를 활용한 전극 프린팅 공정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게 되었으며, Young Leaders Conference session2(YLC2) 에서 발표자로 선정된 5명의 참가자 중에 중에 1등으로 선정되어 금상(Best Paper Award Certificate Gold)을 수상하였다.
2023-08-25 l 조회수 284
한국머크가 머크어워드와 젊은 과학자상 수상자로 정재경 한양대 교수, 곽정훈 서울대 교수를 각각 선정했다.
2023-08-24 l 조회수 469
서울대 초전도 응용연구실(지도교수: 한승용)은 지난 8월 3일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LK-99 관련 동영상을 제작하여 유튜브에 공개하였다.
2023-08-24 l 조회수 303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정교민 교수 연구팀(주성호* 박사과정, 이강일* 박사과정, 민경민* 석사과정, *: 공동기여)이 LG AI Research 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대화시스템 분야의 세계적인 경진대회인 제 11회 대화시스템기술챌린지의 Track 5, 주관적 지식을 사용한 목적 지향적 대화 모델 부문에서 2023년 8월 에 Best Paper Award를 수상하였다.
2023-08-16 l 조회수 34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전기정보공학부 김성재 교수, 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층 종이 채널에서의 계층적 모세관 현상에 의한 유체 침투를 이용해 저농도 물질을 고농도로 농축하는 새로운 나노전기수력학적 방법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2023-07-21 l 조회수 618
AI 기술, 이렇게 그리운 사람의 모습을 볼 수 있게 해주기도 하지만 초상권과 저작권 등등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이 남아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AI 분야 세계 최고 학술지죠, IEEE TPAMI (아이트리플이 티 페미)의 편집장이신 이경무 서울대 석좌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
2023-07-21 l 조회수 591
"사람이 인지 활동을 할 때 뇌가 외부로부터 받는 정보 중 90%가 시각입니다. 결국 시각 정보를 해석하고 인지하지 못하면 진정한 AI를 만들기가 어렵다는 뜻입니다."
2023-07-13 l 조회수 979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유체자기조립(Fluidic Self-assembly) 방식을 이용해 마이크로LED를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12일(현지시각)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공개했다. 김창순 서울대 유기전자·나노광학연구실 교수팀도 이번 연구에 참여했다.
2023-07-12 l 조회수 585
서울대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조동일 교수가 지난 10일 일본 요코하마시에서 개최된 국제자동제어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Automatic Control, 이하 IFAC) 정기총회에서 임기 3년(2023~2026)의 회장에 취임했다고 12일 밝혔다
2023-07-11 l 조회수 801
정덕균 교수, 우리나라 반도체 회로 분야 최초로 IEEE의 Technical Field Award로 반도체 회로 분야 Don Pederson 상의 2024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