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연구 | Faculty/Research

BK21 정보기술사업단

BK21 사업의 개요

Brain Korea 21 사업은 10년 후 한국을 이끌어 갈 미래 유망기술의 핵심 고급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는 Brain Korea 21 1차 사업에 이어, 2차 사업에도 응용과학/정보기술부문에 선정되어 2006년 3월 1일부터 지속적으로 지원을 받아오고 있습니다.

우리 학부와 컴퓨터공학부로 구성된 BK21 서울대요정보기술사업단은 차세대 신성장동력 정보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지식 생산 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국가 미래 산업분야의 신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국제 경쟁력 있는 창의적 연구인력을 양성하며, 산학 협동의 활성화를 통한 산업체 기술이전 및 수요지향적 산업인력의 양산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BK21 정보기술 사업단의 목표

  • 국가가 요구하는 미래지향적 첨단공학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 지식기반형 고부가가치 국가 전략산업 연구능력을 함양한다.
  • 미국 등 세계적 수준의 연구업적을 달성한다.
  • 효율적 산학연(産學硏) 협동연구체제의 확립으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한다.

BK21 정보기술 사업단의 세부 분야 및 분야별 미래상

본 사업의 세부 분야는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이동통신, 임베디드 시스템, 지능형 로봇 및 제어시스템, 전력 및 전기에너지 시스템, 전자디스플레이 및 광공학, 차세대 컴퓨터 및 네트워크, 디지털 컨텐츠 및 소프트웨어 분야 등 총 8개이며, 아래에 각 분야별 비젼을 제시합니다.
  • 가. 차세대 반도체 분야
    컴퓨터, 통신, 제어, 가전 등 대부분의 전자분야에 시스템 전체가 집적회로 하나에 들어가는 SoC(system-on-chip) 시대가 시작되면서 모든 전자제품들의 경량화 및 휴대화가 추세이며, 이에 따른 새로운 시장이 예측되고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 공정기술은 바이오칩(biochip), 생체센서(biosensor) 등으로 기반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 나.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
    현재 저속 음성 및 패킷 데이터 통신 위주에서 고속 이동 중 최대 100 Mbps, 정지 및 저속 이동 중 155 Mbps ~ 1 Gbps 정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유무선 통합에 의한 진정한 멀티미디어 통신으로의 전이가 예상됩니다. 궁극적으로는 빠른 전송 속도 자체보다는 빠른 속도를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을 실현하게 될 것입니다.
  • 다.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
    임베디드 시스템은 각종 전자, 정보, 통신 기기에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내장되는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TV, 휴대폰 등 급속히 시장이 팽창되는 정보통신 기기에 대부분 장착되며, 자동차, 의료기기 등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관련 기술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 오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기술 경쟁력이 확보되기 시작하면서 빠른 성장이 예상됩니다.
  • 라. 지능형 로봇 및 제어시스템 분야
    최근 로봇 기술은 차세대 전략산업의 하나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지능형 유비쿼터스 로봇 기술은 인간과 공존하면서 육체적, 정신적, 감성적으로 인간을 보조하는 인간친화형 서비스 로봇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유비쿼터스 환경 하에서 인간과 인간, 인간과 기계, 기계와 기계 사이의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 기능으로 인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마. 전력 및 전기에너지 시스템 분야
    전력계통과 전력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유기적으로 결합, 가공, 운영하기 위한 기술개발로 기존 전력산업에 대한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고 신규 전력시장을 창출하고 차세대 전지, 미래형 전기자동차 관련 핵심요소기술을 개발하여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에 기여할 것입니다.
  • 바. 전자디스플레이 및 광공학 분야
    21세기 미래기술로 불리며 정보기술, 생명기술, 문화기술 등 모든 분야의 창 역할을 하고 있으며, 휴대전화에서 컴퓨터, 고선명(HD) TV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활 수단에 빠짐없이 들어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벽걸이 디지털 TV를 시작으로 두루말이식 디스플레이나 입체 TV로까지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어 세계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가장 높은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 사. 차세대 컴퓨터 및 네트워크 분야
    차세대 컴퓨터는 정보가전 뿐 아니라 차량, 로봇, 산업기기, 의료기기 등 많은 분야에 필요하며, 시스템 제어,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인공지능 등의 첨단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향후 컴퓨터 시스템은 PC나 서버급 컴퓨터보다 휴대폰, 센서 시스템, 로봇 등의 특화된 시스템으로의 시장 규모가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차세대 네트워크의 인터넷 인프라는 센서망 등과 연동하여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능을 담당하고, 무선 엑세스망은 정지 및 이동 환경에서도 고속 데이터 및 음성, 비디오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망으로서 향후 이와 관련한 거대한 시장 형성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 아. 디지털 컨텐츠 및 소프트웨어 분야
    문화와 교육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3D 그래픽스, 온라인 게임 엔진 등 게임 관련 기술과 디지털 캐릭터 및 실사에 근접한 그래픽 등의 기술에 기반을 둔 시장이 점점 중요해 지고 있습니다. 또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기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소프트웨어와 결합한 e-비즈니스, 생명기술이 결합된 bio-컴퓨팅, medical-컴퓨팅 등이 새로운 응용 분야의 시장으로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RELATED LINKS



학부연구실+ mor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