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9-28 l 조회수 2979
전기정보공학부 이경무 교수(대학원 협동과정 인공지능전공 주임교수)는 인공지능(AI) 특히,시각지능(computer vision)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딥러닝을 이용한 영상복원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루고 있으며 현재까지 Google scholar 총피인용수가 28,000회를 상회한다.
2022-09-20 l 조회수 2822
COVID-19가 전 세계를 강타한 지 어느새 2년 반이다. 변이가 계속 생기면서 상황 종료는 요원해 보이고, 방역 태세도 점차 약해지고 있다.
2022-09-17 l 조회수 2116
우리나라 시스템반도체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그동안 민·관의 많은 노력과 지원이 있었지만 안타깝게도 경쟁력은 점점 떨어지고 있다. 시스템반도체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스마트폰용 반도체인 AP(Application Processor)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한때 세계 1위였으나 갈수록 그 순위가 낮아지고 있다.
2022-09-16 l 조회수 2315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사진)의 ‘작명 센스’가 화제가 되고 있다. 장관이 큰 그림을 그리는 데 그치지 않고 정책명, 슬로건에 대한 아이디어까지 직접 내고 있어서다. 이 장관이 교수 출신에게 흔히 붙는 ‘얼굴마담’이란 선입견을 지우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2-09-06 l 조회수 2569
과학·기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47)는 “역대 수상자 목록에 훌륭한 선배 과학자들이 많은데 같은 상을 받을 수 있어 놀랐고 영광”이라는 소감을 밝혔다.
2022-08-29 l 조회수 2069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가장 신임하는 국무위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윤 대통령이 대권주자 시절이었던 지난해 5월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를 방문, 당시 소장이었던 이 장관으로부터 반도체 강연을 듣기 전까지는 별다른 인연이 없었다.
2022-08-19 l 조회수 2398
권성훈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서울의대 문경철, 박정환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암 조직 속 세포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해 환자의 생존율을 예측하는 지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2022-08-17 l 조회수 2641
최근 반도체가 하나의 경제 산업 분야를 벗어나 국가 안보까지 영향을 미치는 분야가 되기에 이르렀다. 심지어 최근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서 반도체를 중요 무기로 생각하고 있다. 반도체가 없으면 자동차, 로봇, 그리고 인공지능(AI)까지 되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2022-08-17 l 조회수 2724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연구팀이 3차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볼 때 초점 조절 반응이 제한되는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2022-08-15 l 조회수 2498
반도체 산업은 전통적으로 민간 기업들의 주도로 성장해 왔다. 하지만 최근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은 반도체 관련 기술을 국가 안보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며 경쟁적으로 정부 차원의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